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73

면역(면역계 구조와 체액/세포면역) 면역계의 구조 1) 림프계 림프계는 중심 림프장기와 말초 림프장기로 구성되어 있다. 중심 림프장기에는 흉선과 골수가 있으며, 말초 림프장기에는 편도, 림프조직, 림프절 및 비장이 있다. 흉선은 골수에서 생성된 림프구의 전구세포를 성숙 T림프구로 분화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때 흉선의 티모신(thymosin) 호르몬이 관여한다. 흉선은 청소년기에 최고로 커졌다가 나이가 들면서 퇴화하고 노인의 경우 세망섬유(reticular fiber) 나 림프구 및 결합조직이 남아있다. 림프절은 직경 1~25mm로서 목과 액와 부위와 같이 특별한 부위에 다발로 뭉쳐져 있다. 림프절은 림프관을 통해 유입된 림프액을 여과하는 기능을 하는데 림프액에 존재하는 항원의 99%가 여기서 제거된다. 림프절 내부에는 림프구와 대식세포가 .. 2023. 2. 7.
면역(항원, 면역의 개념과 종류) 면역의 개념 면역이란 미생물이나 종양 단백질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반응으로써 다음 3가지 기능으로 인체를 보호한다. 방어 : 외부의 이물질이 생체 내로 침입하였을 때 이물질을 공격함으로 상체를 보호하고 감염이 진행되는 것을 막는다. 항상성 : 손상된 세포는 소화하거나 제거하여 다양한 세포의 고유한 형태를 유지하게 한다. 감시 : 생체 내에 끊임없이 발생하는 돌연변이를 이물질로 인식하여 파괴한다. 항원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을 항원 또는 면역원이라고 한다. 항원이란 화학적 형태로서 숙주 내의 항체를 생성하는 물질이며, 면역원이란 숙주가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어떠한 형태로든지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항원은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나 지단백이나 핵산도 항원으로 작용한다. .. 2023. 2. 6.
욕창간호 (원인, 발생부위, 사정방법, 간호) 욕창은 압력에 의하여 주로 골격이 튀어나온 부분의 피부에 상처가 생기거나 피부 상처와 함께 그 밑에 있는 조직에 괴사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조직의 압박으로 생기는 압력이 모세혈관 압력보다 커서 이에 따라 조직에 장시간 빈혈을 초래하여 생기는 피부의 비정상적인 반응이다. (1) 원인 원인요인으로 압력, 마찰력, 응전력 등 3가지 물리적힘이 욕창 발생의 원인이며, 이 중 2가지 이상의 힘이 작용하여 욕창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여 요인은 습기, 불량한 영양상태, 불결한 위생 상태, 부동, 운동마비, 근육 위축, 빈혈, 연령, 감염 등이다. (2) 욕창 발생 부위 욕창은 체중을 지탱하는 뼈 돌출 부위와 피하지방이 적은 부위에 많이 발생한다. 75%가 천골, 대전자, 좌골조면에서 발생하며 무릎,.. 2023.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