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삼차신경통(trigeminal neuralgia)과 간호

by 달리는토끼 2023. 2. 28.

 

삼차신경통 (trigeminal neuralgia) – 제 5제5 뇌신경의 장애

삼차신경

1) 원인 및 역학

삼차신경통은 삼차신경의 3개 분지, 안신경가지(ophthalmic branch), 상악신경가지(maxillary branch), 하악신경가지(mandibular branch) 중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신경 분지에 반복적이고 견디기 어려운 발작적 통증이 나타난다.

삼차신경통과 관련하여 다양한 요인들이 알려져 있으나 확실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 가장 널리 수용되고 있는 원인론은 신경근의 혈관 압박으로 인한 자극과 탈수초화다. 다른 잠재적인 원인은 치아와 턱의 손상, 감염, 그리고 동맥류 또는 종양으로 인한 삼차신경의 압박이다. 삼차신경통은 모든 나이 층에서 발생할 수 있나 중장년층에서 자주 생기며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자주 발생하며, 다발성 경화증이 있는 사람에서 발생률이 높다.


2) 병태생리

삼차신경은 뇌교에서 나오며, 3개의 주요 가지들로 나누어지는 신경은 반월 신경절로 합쳐진다. 삼차신경은 뇌신경 중 가장 큰 신경이고 운동 섬유와 감각 신경을 모두 가지고 있다. 삼차신경통의 통증은 일차적으로 상악과 하악의 신경 가지에 영향을 미치며, 시신경 가지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드물다.


3) 증상과 징후

삼차신경통은 주로 어느 한쪽 얼굴(눈 아래쪽)에 국한되어 칼로 베는 듯한, 타는 듯한 통증이 간헐적인 주기로 갑자기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함께 얼굴 근육의 불수의적 수축은 눈을 급격히 감게 하거나 입이 뒤틀리게 한다. 통증은 발작성이며 수초에서 수분 동안 지속하다가 자연적으로 사라지며, 하루에 여러 차례씩 수십 번 반복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도 한다.


4) 진단 검사

진단 검사로 삼차신경통을 확진하기 어려우나 CT, MRI, EMG, 뇌척수액 검사, 혈관조영술 등을 통해 다발성 경화증, 혈관의 비정상적인 변화 등으로 인한 통증과 구분하고 원인병소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삼차신경통의 진단에 통증 유발 원인, 특성과 부위를 중심으로 한 주의 깊은 과거력 청취가 중요하다. 삼차신경통의 유발이 일상생활활동(세수, 칫솔질, 식사, 면도 등)과 관련이 있으므로 삼차신경통 환자는 이와 같은 자극을 피하고자 얼굴을 만지거나 씻으려 하지 않고 면도, 저작 등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어떤 활동도 하지 않으려 한다.


5) 치료 및 간호

(1) 약물치료

Carbamazepine, Tegretol, phenytoin, baclofen, valproate sodium, lamotrigine와 gabapentin 항경련성 약물은 신경 말단에서 흥분의 전달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증을 완화한다. 약물은 하나 혹은 여러 가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삼차신경통의 감소에 특별한 효과가 없다.

약물치료

삼차신경통약물 뉴론틴캡슐 급여기준

 

삼차신경통약물 뉴론틴캡슐 급여기준

Gabapentin 가바펜틴, 뉴론틴 구 분 세부인정기준 및 방법 [113] Gabapentin 경구제 (품명: 뉴론틴캡슐 등) 허가사항 범위 내에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투여 시 요양급여를 인정하며, 동 인정기준 이외

hyeji92.tistory.com

 

 

(2) 외과적 치료

  • 신경차단술(nerve block) : 삼차신경가지에 주사침을 삽입하고 알코올이나 페놀을 주입한다. 보통 6개월에서 16개월까지 통증 조절 효과가 있다.
  • 경피적 고주파 삼차신경근 절단술(percutaneous radio frequency trigeminal rhizotomy : 난원공을 통해 뇌교 옆에 있는 삼차신경통의 통로에 바늘을 삽입하여 고주파 전류로 삼차신경근을 소작하는 방법이다. 장기간 통증 완화가 가능하고 다양한 연령층에서 사용가능하다.
  •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 : 고화질 영상을 통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한 후 정위수술로 치료 부위에 집중적인 다량의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 미세혈관 감압술(microvascular decompression : MVD) : 뇌교에 위치한 신경기시부를 누르고 있는 혈관의 위치를 교정해 주는 방법이다. 감각 장애를 동반하지 않고 통증을 완화하지만 수술 후 통증이 재발할 수 있다. 뇌간의 주위에서 시술하므로 위험성이 따르며 개두술 수술환자 간호처럼 수술 후 간호를 한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수술 방법이며 반측성 안면경련(hemifacial spasm)에도 동일한 수술방법을 시행한다.

 

(3) 간호

  • 통증 예방 관리

간호사는 예방의 통증 완화 중재 지침을 제공하여 통증을 예방하거나 완화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실온의 음식과 음료를 섭취하도록 하고 부드러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권장한다. 또한, 환자의 통증이 만성화된 경우에는 불안, 우울, 불면증이 동반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적절한 중재를 적용한다.

  • 수술 후 간호

수술 후 신경 사정을 통해 삼차신경의 각 신경분지의 운동 및 감각 장애를 평가한다.

  • 교육

약물의 혈중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정해진 시간에 처방된 약을 먹는다. 통증 시 진통제를 복용하며, 통증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기 전에 복용하면 더 효과적이다. 통증을 악화시키지 않고 영양소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식습관조절 방법을 찾는다. 식사가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섭취한 모든 음식은 영양분이 있어야 하고 대사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가치가 있어야 한다. 탈수를 피하고자 영양 가치가 있는 액체류를 마신다. 만약 구강관리가 통증을 유발한다면 부드러운 면봉과 구강청결제를 사용하고 통증이 없을 때 자주 구강관리를 시행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