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실금은 체외로 요를 운반하는 요괄약근의 기능부전으로 인해 요의 흐름을 조절할 수 없어 소변이 자신도 모르게 흐르는 증상을 말한다.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더 흔하며 노인의 발생빈도는 남녀가 비슷하다. 요실금은 노인에게 유병율이 더 높지만 노화에 따른 자연적인 현상은 아니다. 요실금 증상이 심하면 소변이 반복적으로 누출되어 속옷을 자주 갈아입어 줘야 하고 환자는 무력감, 절망감, 좌절감에 빠지게 된다.
1) 원인
요실금은 괄약근 조절의 장애로 발생하며 원인은 다양하다.
(1) 구조적, 신체적 요인
괄약근의 약화 또는 손상, 요도손상, 방광요도 접합부의 변화, 배뇨근의 불안정, 복부와 회음부의 근긴장 감소가 요실금의 원인이 된다.
(2) 물리적 요인
스스로 화장실이나 변기를 이용할 수 없는 기동성 장애에서 발생한다. 뇌졸중, 골절, 위약과 어지럼증 자유롭게 화장실에 가거나 변기 사용을 어렵게 한다.
(3) 사회심리적 요인
단순한 혼돈부터 치매에 이르기까지 요실금의 사회심리적 요인은 다양하다.
(4) 약물 관련 요인
다양한 약물들이 요실금을 일으키는데 특히 역류성 요실금과 관련된다.
약물로는 방광 충만감에 손상을 주는 마약성 진통제, 진정제 및 수면제와 알코올, 이뇨제, 항히스타민제, 아트로핀 유사 약물, 혈압강하제, 신경절 차단제, 교감신경 차단제 등이 있다.
2) 요실금의 유형과 증상
(1) 복압 긴장성 요실금(스트레스성)
갑작스러운 복압 상승(기침, 달리기 등)으로 소변의 흐름 조절 불가능하여 소변이 흘러나오는 현상이다. 임신과 출산으로 방광과 요도를 지지하는 골반저근이 악화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남성의 경우 전립샘 절제술 후에 발생한다.
(2) 긴박성 요실금(절박성)
갑자기 소변 마려운 느낌이 들어 화장실에 가는 도중이나 미처 속옷을 내리기도 전에 불수의적인 소변 배출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과민성 방광, 뇌졸중, 알츠하이머 질환, 뇌종양, 방광염, 방광 출구의 폐쇄 등이 원인이다.
(3) 일류성 요실금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서 넘쳐흐르는 요실금이라고 하며 방광에 가득 찬 소변의 압력으로 적은 양의 소변이 지속해서 새어 나오는 형태를 말한다. 방광의 수축력이 감소하거나, 방광 출구 폐쇄 등이 원인이다.
(4) 심인성 요실금 = 기능성 요실금
신경질환이나 정신질환, 환경적인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 방광 기능은 정상이다.
(5) 수술과 손상으로 인한 요실금
여자인 경우 방광 질 누공, 또는 요도 방광 누공이 원인이다. 남자의 경우 근위, 원위 요도 괄약근의 조절 장애가 원인이다.
3) 진단검사
요실금에 대한 기초 평가는 건강력 수집, 신체검진과 배뇨 기록이 필요하다. 신체검진 시 회음부 근육의 강도와 신경분포 상태를 확인하며 배뇨기능과 관련된 기동성과 인지기능 등 일반적인 건강 상태도 확인한다.
4) 치료
(1) 행동요법
골반저근 운동 : 괄약근을 튼튼하게 만드는 근육운동(케겔 운동)은 방광 조절을 회복시키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요실금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며 복압 긴장성, 긴박성 요실금 치료에 효과적이다.
바이오피드백 :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하면 환자 자기 눈으로 회음부의 근육의 수축, 이완 정도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골반저근의 수축을 감지하는 기구를 장착한 후 운동하면서 골반저근이 제대로 수축하는지, 수축 강도는 어떤지 확인할 수 있다.
배뇨 훈련 프로그램 : 배뇨 훈련 프로그램은 매 30분~2시간마다 환자를 변기에 앉혀서 강제적으로 배뇨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대뇌 기능 저하나 혼돈 또는 급성질환으로 인해 요실금이 초래된 경우 배뇨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긴박성, 기능성 요실금에 효과적이다. 배뇨 간격은 방광이 비워지는 정도에 따라 결정된다.
(2) 약물요법
요실금의 원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투여한다. 배뇨근의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콜린성 제제를 투약하며 방광의 평활근을 직접 이완화여 긴장도를 감소시킨다. 폐경기 여성의 요도염과 위축성 질염을 치료하기 위해 에스트로겐을 국소적 혹은 전신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3) 수술
방광요도 고정술과 stamey 방법은 가장 흔한 수술 방법으로 요도방광각을 정상으로 회복하고 방광을 지지하기 위해 주위 조직이나 물질을 사용하여 방광을 올려 잡아당기는 방법으로 요도를 통해서도 시행할 수 있다. 수술 후 환자들은 대략 8일 동안 치골상 도뇨관을 이용하게 되며, 이 기간에는 감염예방을 위해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게 된다.
5) 간호
요실금을 줄이기 위해 수분 섭취를 제한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배뇨반사를 자극하기 위해 적당한 양의 소변 생성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다. 금기가 아니라면 하루에 2L~2.5L의 수분을 섭취하여야 한다. 그러나 취침 시에는 충분한 수면을 위해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카페인 섭취는 배뇨근의 민감성을 증가시키므로 커피, 홍차, 탄산음료 등의 카페인 섭취를 제한한다.
요실금은 피부감염, 발진, 손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피부보호와 침상 정리 및 의복 관리가 필요하다. 젖은 피부는 꼼꼼하게 씻기고 건조하게 해 암모니아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해야 한다.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신 홍반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SLE, Lupus) (0) | 2023.03.13 |
---|---|
뇌 MRI 급여 기준 정리 (0) | 2023.03.12 |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과 간호 (0) | 2023.03.10 |
신경계 감염성 질환(세균성 수막염, 바이러스 수막염, 뇌염) (0) | 2023.03.08 |
척추 MRI 급여기준 정리 (1) | 2023.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