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10.01 부터 기준이 조금 변경되는 부분이 있어서 추가로 수정하였습니다.
1. 뇌, 뇌혈관, 경부혈관 자기공명영상진단 MRI 기본 및 특수검사는 다음의 경우 요양급여함.
-다음-
가. 급여대상
1) 아래 상병 등의 뇌질환이 있거나, 이를 의심할만한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또는 신경학적 검사 등 타 검사 상 이상소견이 있는 경우
- 아래-
가) 원발성 뇌종양, 전이성 뇌종양, 두개골 조양
나) 뇌혈관 질환
다) 중추신경계 탈수초성 질환
라) 중추신경계 감염성 및 염증성 질환
마) 중추신경계 자가면역(면역이상) 질환
바) 이상운동질환 및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사) 신경계의 기타 선천 기형
아) 치매
자) 뇌전증
차) 뇌성마비
카) 두부손상(저산소성 뇌손상 포함)
타) 기타: 수두증, 자간증 및 전자간증, 안면경련, 삼차신경통, 두개골조기유합증, 성장호르몬 결핍증(뇌하수체기능 저하증), 중추성조발사춘기, 중추성 요붕증
이를 의심할만한 신경학적 이상 증상 :
- 의식장애(의식저하 또는 의식변화), 갑자기 혹은 급성으로 발생한 인지장애, 기억장애, 실신
- 언어장애, 행동장애, 시각장애, 안진, 안구운동장애, 복시, 안검하수, 근력저하(운동마비), 감각이상, 보행장애, 구음장애, 삼킴 곤란, 경련이나 발작, 박동성 이명, 안면마비
- 이상운동(운동 실조증, 무동증, 진전, 근긴장 이상 등)
2) 상기 1)에도 불구하고 아래 가)~마)는 각 호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인정
-아래-
가) 두통, 어지럼
-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여 나610나 신경학적 검사(일반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 경우
->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고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로 나610나 신경학적검사(일반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여야 함(수정)
(단, (5), (6)의 경우 특징적인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동반되어야 함)
-아래-
(1) 갑자기 혹은 급격히 발생한 지속적인 심한 두통(벼락두통)
(2) 발열, 울렁거림(또는 구토), 어지러움증 중 2가지 이상을 동반한 지속적인 두통 삭제
(3) 발살바(기침, 힘주기) 또는 성행위로 유발 혹은 악화되는 두통
(4) 군발두통 또는 전조를 동반하는 편두통으로 뇌 이상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5) 소아에서 새로운 형태의 심한 두통 또는 수개월동안 강도가 심해지는 두통
(6) 암 또는 면역억제상태 환자에서 새롭게 발생한 두통
(7) 중추성 어지러움
<변경>
- (1) 갑자기 혹은 급격히 발생한 지속적인 심한 두통(벼락두통)
- (2) 발살바(기침, 힘주기) 또는 성행위로 유발 혹은 악화되는 두통
- (3) 소아에서 새로운 형태의 심한 두통 또는 수개월동안 강도가 심해지는 두통
- (4) 암 또는 면역억제상태 환자에서 새롭게 발생한 두통
- (5) 중추성 어지럼
- (6) 군발두통을 포함한 삼차자율신경계 두통 또는 조짐을 동반하는 편두통으로 뇌 이상 여부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중추성 어지럼에 동반되는 특징적인 신경학적 증상이란?
- 중추성 안진, 체간 실조, 보행실조, 또는 급성 청력저하 중 한 가지 이상을 동반한 어지럼을 의미하며, 동반된 어지럼 양상 등을 진료기록부에 기록하여야 함.
이때, 중추성 안진이란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함.
- 다 음 -
가. 정상 두부충돌검사(head impulse test)를 보이는 수평안진
나. 수직 및 회선 안진(upbeat, down beat, torsional nystagmus)
다. 주시유발 안진(gaze-evoked nystagmus)
라. 급성으로 발생하여 48시간 이상 지속되는 안진
마. 중추신경계 질환을 시사하는 자발성, 자세성(positional), 두진(head-shaking) 후 안진
나) 신생아 - 주산기 가사 중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 있는 경우 또는 저산소성 허혈성 뇌증이 의심되는 경우
다) 발달지연, 수면장애 - 상기 가. 1)의 뇌질환이 의심되는 경우로 진료의가 임상적으로 의학적 필요성이 있다고 파단한 경우
라) 정신질환으로 외래 초발 또는 입원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또는 전공의가 상기 가. 1)의 뇌질환과 감별진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단, 낮병동에 입원하는 경우 인정하지 아니함)
마) 타 진단장비 이용이 불가하여 MRI 촬영이 불가피한 경우(사구체 여과율 60ml/min 이하의 신장기능 저하 환자로 조영제 사용이 불가능한 환자, 임산부 등)
나. 급여 횟수 : 상기 가.의 급여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1) 진단시 : 1회. 단, 정확한 진단을 위해 특수촬영 등의 다른 촬영기법이 필요한 경우 추가 1회
2) 추적검사
가) 수술(뇌정위적 수술 및 중재적 시술 포함), 방사선치료, 항암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1) 시행 전 : 치료 목적(수술 및 방사선치료 범위결정 등)으로 촬영한 경우 1회
(2) 수술(뇌정위적 수술 및 중재적 시술 포함) 후 : 1개월 내 1회, 2~6개월 내 추가 1회, 7~12월 내 필요시 추가 1회
(3) 방사선치료(뇌정위적방사선수술 포함) 후 : 1~3개월 경과 후 1회. 단, 악성종양은 필요시 1년 이내 추가 1회
(4) 항암치료 중 :2-3주기(cycle) 간격
나) 상기 나.2)가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 뇌졸증 및 일과성허혈발작 : 1개월 내 1회, 2~12개월 내 추가 1회
3) 상기 나. 1) 또는 나. 2) 이후의 장기추적검사
가) 뇌혈관질환 : 1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2년 4년간(최대 6년)
나) 양성종양 : 1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2년 8년간(최대 10년) 단, 수술(시술)등을 시행 후 잔여 종양이 확인된 경우 1회/년 5년간, 그 이후 1회/2년
다) 악성종양 : 2회/년 2년간, 그 이후 1회/년. 단, 만 18세 이하에서 진단받은 소아청소년암은 4회/년 5년간(또는 완치까지)
라) 다발성경화증 : 1회/년
마) 발달지연
(1) 만 3세 이하에서 진단받은 경우 1회/년(최대 만 6세까지)
(2)만 4세 이상에서 진단받은 경우 필요시 최대 3회
4) 상기 나.1)~3)에도 불구하고, 환자상태의 변화 또는 새로운 병변 발생 등 진료상 추가촬영의 필요성이 있는 경우 추가 인정함.
다. 아래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본인부담률을 80%로 적용한다.
-아래-
1) 상기 가.2)가)에 해당하지 않으나 뇌질환을 의심할만한 두통, 어지러움으로 나 610나 신경학적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한 경우 - 최대 1회
2) 상기 나.1)~3)의 급여 횟수 초과 시 (단, 최대기간, 최대 횟수가 명시된 경우는 최대범위 내에 한함)
'간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 관절질환관련 MRI 급여기준 정리 (1) | 2023.03.14 |
---|---|
전신 홍반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SLE, Lupus) (0) | 2023.03.13 |
요실금(urinary incontinence) (0) | 2023.03.11 |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과 간호 (0) | 2023.03.10 |
신경계 감염성 질환(세균성 수막염, 바이러스 수막염, 뇌염) (0) | 2023.03.08 |
댓글